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덤프버전 :




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Africa Cup of Nations Tunisia 2004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04
2004 كأس الأمم الأفريقية
파일:2004_Africa_Cup_of_Nations_logo.svg.png
대회기간1월 24일 ~ 2월 14일
개최국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참가팀16개팀
대회 결과
우승튀니지파일: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준우승모로코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말리파일:말리 축구 대표팀.png
수상
골든볼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제이제이 오코차
골든부트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유세프 모크타리
파일:말리 축구 대표팀.png 프레데리크 카누테
파일:Cameroon_2000s.png 파트리크 음보마
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제이제이 오코차
파일: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프랑실루도 산투스 (이상 4골)
연표
이전 대회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다음 대회200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1. 개요
2. 경기장
3. 참가팀
4. 조별리그
4.1. A조
4.2. B조
4.3. C조
4.4. D조
4.5. 결선 라운드
5. 결과
6. 여담



1. 개요[편집]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24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튀니지에서 개최되었다.


2. 경기장[편집]


  • 스타드 7 노벰베르[1] (튀니스) - 60,000석
  • 스타드 엘 멘자 (튀니스) - 45,000석
  • 스타드 올랭피크 드 수사 (수사) - 28,000석
  • 스타드 무스타파 벤 자네 (몬타시르) - 22.000석
  • 스타드 타이브 으미리 (스팍스) - 22,000석
  • 스타드 15 옥토브르[2] (비제르트) - 20,000석


3. 참가팀[편집]


2002년 대회 우승팀 카메룬과 대회 개최국 튀니지가 본선에 자동진출했으며 네이션스컵 각 조 1위 14팀이 본선에 합류했다.
  • 개최국 : 튀니지
  • 전 대회 우승국 : 카메룬
  • 예선 통과국 : 14개국
    • 나이지리아 (1조 1위), 기니 (2조 1위), 베냉 (3조 1위), 부르키나파소 (4조 1위), 케냐 (5조 1위)
    • 말리 (6조 1위), 모로코 (7조 1위), 세네갈 (8조 1위), 콩고민주공화국 (9조 1위), 이집트 (10조 1위)
    • 남아프리카공화국 (11조 1위) , 알제리 (12조 1위), 르완다 (13조 1위), 짐바브웨 (14조 1위)

시드 배정은 다음과 같다. 2004년 1월 발표된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다.
  • 1시드 : 튀니지, 카메룬, 나이지리아, 세네갈
  • 2시드 : 알제리,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콩고민주공화국
  • 3시드 : 모로코, 부르키나파소, 말리, 기니
  • 4시드 : 케냐, 르완다, 베냉, 짐바브웨

4. 조별리그[편집]



4.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21062+47
2파일:기니 국기.svg기니12043+15
3파일:르완다 국기.svg르완다1113304
4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 DR00316-50
결선 진출 | 탈락

4.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말리 국기.svg말리21073+47
2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12041+35
3파일:케냐 국기.svg케냐10246-23
4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01216-51
결선 진출 | 탈락

4.3. C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12064+25
2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1114404
3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1113304
4파일:짐바브웨 국기.svg짐바브웨10268-23
결선 진출 | 탈락

4.4. D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21061+57
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20162+46
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공화국11135-24
4파일:베냉 국기.svg베냉00318-70
결선 진출 | 탈락


4.5. 결선 라운드[편집]


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경기대진표
A8강 1경기
튀니지 1:0 세네갈
E4강 1경기
튀니지 1:1 (5:3)[3] 나이지리아
G결승
튀니지 2:1 모로코
B8강 2경기
카메룬 1:2 나이지리아
-
C8강 3경기
모로코 3:1[4] 알제리
F4강 2경기
모로코 4:0 말리
D8강 4경기
말리 2:1 기니
H3/4위전
나이지리아 2:1 말리

2004 CAF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1번째 우승


5. 결과[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튀니지6420104+614우승
2모로코6411144+1013준우승
3나이지리아6411115+6133위
4말리631210100104위
5세네갈412142+258강
6카메룬412176+158강
7기니412155058강
8알제리411246-248강
9이집트311133041라운드
르완다311133041라운드
11남아프리카공화국311135-241라운드
12짐바브웨310268-231라운드
13케냐310246-231라운드
14부르키나파소301216-511라운드
15콩고DR300316-501라운드
16베냉300318-701라운드


6. 여담[편집]


  • 튀니지가 자국 개최의 유리함을 살려 사상 첫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사령탑 로저 르메르는 이로써 2년 전 세네갈 쇼크의 원흉으로써 조국 프랑스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불명예스럽게 물러난 뒤 1년 6개월 만에 어느정도 자존심을 회복하는 데 성공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0:46:21에 나무위키 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로 번역하면 11월 7일 경기장[2] 한국어로 번역하면 10월 15일 경기장[3] 승부차기[4] 연장전